프랑스어 문자표기를 살펴보았을 때, 언뜻 보면 영어와 비슷한 것 같으면서도 알파벳 위, 아래로 특이한 표시들이 있습니다. 그런 기호들을 철자 기호라고 하는데, 무슨 이유로 사용하는 것일까요? 불어의 철자 기호에 대해서 자세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프랑스 철자 기호(Les Signes Orthographiques)
철자 기호란, 글자에 다른 표시를 하여 본래 철자와 서로 다른 소리와 의미를 만드는 기호를 통칭합니다. 우리의 한글에는 없는 표기 방식이지만, 유럽어들에서는 매우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표기법입니다. 아시다시피, 프랑스어는 로마제국의 문자였던 라틴어(보다 정확하게는 라티움 어)에서 파생된 언어로, 로마자 알파벳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당시 고대 갈리아(현재 프랑스, 벨기에 일대) 지방에서 사용되던 발음들은 기존 로마 알파벳으로 완전히 표시할 수 없었으며, 이후 프랑스어의 시대에 따른 변화를 담아내기에도 부족한 부분들이 있었습니다. 이에 모음의 구분, 동음이의어의 구분을 위해서나, 혹은 축약 등의 문자의 변화 흔적을 표시하기 위해서 특별한 표기법이 요구되었습니다. 프랑스어의 철자 기호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언어학적 원인, 문화적 관습 등의 이유로 인해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1. accent aigu(악쌍 떼귀) ´
왼쪽 아래로 향하는 쉼표 형태의 기호로서, 프랑스어에서는 모음 e에만 사용하여, 닫힌 e 소리 [e]를 표시합니다. [ε], [ə]의 소리와 [e]를 구분하기 위해 이 기호를 e 위에 붙여 é [e]를 나타냅니다. 물론, 대부분의 언어규칙에는 예외가 존재합니다. 따라서 일부 단어에서는 열린 e 소리 [ε]를 표시하기도 합니다만, 일반적으로 거의 대부분의 경우에, 우리말 '에'에 해당하는 [e] 소리가 난다는 것을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2. accent grave(악쌍 그라브) `
accent aigu와 반대 방향의 쉼표 모양으로, 불어에서 동음이의어를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동음이의어란, 문자 발음은 같으나, 의미가 다른 단어들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ou와 où는 둘 다 동일한 [u]로 발음이지만, 그 의미는 서로 다릅니다(각각 '또는', '어디'). a와 à도 같은 발음이지만 동사와 전치사로 뜻이 다른 형태입니다. 만약 accent grave 기호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표기가 동일하기 때문에 언어사용에 큰 불편과 혼란을 가져다줄 수 있습니다. 모음 a, e, u에 사용되며, à, è, ù로 표기합니다. é와 달리, è는 [ε] 소리가 납니다.
3. accent circonflexe(악쌍 시르꽁플렉스) ˆ
모음 a, e, i, o, u 위에 삿갓 모양을 표시하여 â, ê, î, ô, û로 표기합니다. 일반적으로 프랑스어가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과정에서, 탈락되거나 묵음화된 소리의 흔적을 표시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면, hostel → hôtel, forest → forêt의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이 경우는 [s] 소리가 탈락했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표시가 됩니다. 이 밖에, a탈락(aage → âge), e탈락(seur → sûr)의 경우도 있고, suprême 같이 아무런 축약현상 없이 accent circonflexe가 붙은 경우도 있습니다. ê는 [ε] 소리가 납니다.
4. cédille(쎄디유) ¸
프랑스 알파벳 C 다음에 모음 a, o, u가 오면 발음규칙상 [k] 소리가 나와야 하는데, 이를 [s] 소리로 변경하는 역할을 하는 기호입니다. français의 발음은 [fʀɑ̃sε]로 [프헝께]가 아닌 [프헝쎄] 정도가 되는 것이지요. 알파벳 C와 관련된 발음규칙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C + 모음 a, o, u : C는 [k]의 소리가 납니다 → ca '까', co '꼬', cu '뀌'
- C + 모음 e, i, y : C는 [s]의 소리가 납니다 → ce '쎄', ci '씨', cy '씨'
- ç + 모음 a, o, u : ç는 [s]의 소리가 납니다 → ça '싸', ço '쏘', çu '쒸'
5. tréma(트레마) ¨
모음 a, e, i, o, u 위에 점 두 개를 찍어서 표기합니다. 트레마는 2개의 모음이 연속으로 붙어 있을 때, 두 번째 모음에 표시함으로써, 모음 2개를 각각 별개로 분리해서 소리 내라는 기호입니다. mais와 maïs를 예로 들면, 전자는 연모음 [mε]로 발음하지만, 후자는 모음 a와 i를 각각 소리 내어 [mais] '마이스'로 발음합니다. ë는 [ε] 소리로 발음합니다.
6. apostrophe(아뽀스트로프) '
영어에서와 동일한 모음축약 기호입니다. la + école의 형태는 l'école로 앞부분의 모음을 생략하면서 apostrophe를 붙여줍니다. le + amour → l'amour로 사용합니다.
7. trait d'union(트레뒤니옹) -
중간에서 중재하는 하이픈을 의미합니다. 불어에서는 주로 주어와 동사의 위치가 도치된, 도치의문문을 만들 때 사용합니다. Est-ce que ~? 또는 Que veux-tu? 문법에 대해서는 차차 알아보기로 하고, 일단은 이게 trait d'union이라는 것을 알면 됩니다. 도치의문문 외에도 합성어를 만들 때, 하이픈으로 연결하여 새로운 의미를 만들기도 합니다.
마치며
이번 포스팅에서는 프랑스어 철자 기호를 사용하는 이유와 구체적인 용례들을 알아보았습니다. 기호들의 발음은 아직 모음을 배우지 않았다는 가정에서, 일단 일반적으로 쓰이는 외래어 표기법의 방식으로 적어 놓았습니다. 실제 발음들은 악썽 떼귀, 악썽 그하브, 악썽 씨흐꽁플렉스, 세디으, 트헤마, 아뽀스트호프, 트헤뒤니옹 정도가 되는데, 다음 불어 모음 발음 파트를 확인하시면 실제 발음과 유사하게 읽으실 수 있습니다.
'프랑스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랑스어 숫자 규칙과 발음 (0) | 2024.06.17 |
---|---|
프랑스어 자음 발음 방법 (0) | 2024.06.06 |
프랑스어 모음 발음 방법 (2) (0) | 2024.06.05 |
프랑스어 모음 발음 방법 (1) (0) | 2024.06.05 |
프랑스어 알파벳 발음 주의사항 (0) | 2024.06.03 |
댓글